2020. 7. 23. 15:58ㆍJava script/수업내용
1. <html>
: 웹 페이지의 시작과 끝.
<! doctype>은 문서 유형을 지정하는 것으로, 웹 브라우저가 페이지를 어떤 타입으로 해석해야 하는지 알려준다.
ex) <! doctype html> : 이 페이지를 html 타입으로 해석해라.
2. <head>
: 웹 페이지의 정보, 문서에서 사용할 외부 파일들을 링크할 때 사용한다.
ex) <Title>, 혹은 CDN Link가 들어간다.
3. <body>
: 브라우저에 실제로 표시되는 내용
4. <title>
: 문서 제목으로써 실제 웹 페이지엔 표시되지 않는다. 브라우저의 탭에 표시된다.
5. <div> / <span>
: 컨텐츠를 묶어서 표시할 때 사용된다. <div>는 박스 형태로 영역이 설정되고 그 안에 정렬되고, <span>은 줄 단위로 영역이 설정된다.
6. <a>
: anchor의 의미를 가진다. 웹 페이지나 외부 사이트 연결 기능을 한다.
ex) <a href="/member.html">
내용
: 내용 이라는 string 컨텐츠를 클릭함으로써, 해당 URI 주소의 /member.html로 이동하는 하이퍼링크를 설정한다.
7. <script>
: 코드 삽입의 개념으로써, 실행 가능한 코드를 웹 페이지에 포함시키거나 참조하기 위해서 사용한다. 즉, *.js 파일에 *.html의 내부 구현을 작성한 후, *.html에서 <script> 태그를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것이다.
ex)
위와 같이 연결하는데 사용된다. 혹은 CDN Link를 붙일 때에도 <script>가 사용된다.
8. <table>
: 데이터를 담고 있는 표를 만들 때 사용된다. <table id = " "> 형태로 id를 부여할 수 있고, 이를 프론트 단의 *.js 파일에서 document.getElementById(" ")를 이용하여 연결 할 수 있다.
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는 태그는 다음과 같다.
a. <thead> : table-head 라는 뜻으로 테이블의 타이틀이 되는 틀
a-1. <th> : <thead>의 자식 요소로써 테이블 타이틀 내용을 적는 부분. 자동으로 Bold 처리가 된다.
b. <tbody> : table-body 라는 뜻으로 표의 내용을 뜻함
c. <tr> : table row의 약자로, 가로줄을 만드는 역할. 보통 <td>로 요소를 집어넣은 묶음을 <tr>로 묶으면 그것이 하나의 행이 만들어지는 것이다.
d. <td> : table data의 약자로, 하나의 셀(요소)을 만드는 역할.
9. <form>
: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때에, 그 데이터를 묶음으로써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태그이다. 따라서 <body> 태그 내에서 가장 외곽에 위치하며, <table> 태그와 마찬가지로 <form id = " "> 형태로 id를 부여해서 이용 할 수 있다.
10. <fieldset>
: <form> 태그 안에 관련 있는 요소들을 그룹화하여 명칭을 붙일 때 사용한다.
11. <legend>
: <fieldset> 태그 하위에 사용되어, 그룹화 한 요소들을 목적에 맞게 명칭을 정할 수 있다.
12. <h1> <h2> <h3> <h4> <h5> <h6>
: 제목 태그이다. 숫자가 낮을수록 큰 폰트 사이즈를 가진다.
13. <button>
: 버튼 생성 태그이다. 사용 문법은 다음과 같다.
ex) <button type="submit">내용</button>
'Java script > 수업내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동기 / 콜백 / Promise / async / await (0) | 2020.07.23 |
---|---|
구매 관리 Rest API (0) | 2020.07.21 |